Information Security Study
웹훅 설정하기 본문
웹훅 설정하기
애플리케이션에서 변동사항 발생 시 젠킨스에서 자동으로 빌드할 수 있도록 웹훅 설정을 할 것이다.
웹훅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rsa 키가 필요하고 jenkins credential과 github repository에 deploy key를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새 파이프라인 아이템 생성 후 구성으로 들어가서
commit change 발생 시 젠킨스에서 자동으로 빌드될 수 있도록 GitHub hook trigger for GITScm polling 옵션을 선택한다.
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rsa 키가 필요하다.
rsa 키 발급 및 설정은 이전 게시글에 자세히 나와있다.
https://gayeon-l.tistory.com/443
인스턴스 설정하기
인스턴스 설정하기 인스턴스는 위와 같이 생성했다. a-public-monitoring 인스턴스 설정a 가용영역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정상 작동 여부와 자원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그라파나와 프로메테
gayeon-l.tistory.com
rsa 공개키를 깃허브 레포지토리 > Settings > Deploy Keys에 저장한다.
그리고 Webhooks에 젠킨스가 설치된 인스턴스의 플로팅ip:8080을 작성한 뒤 저장한다.
이제 깃허브에 레포지토리에 접근하기 위해 credential 등록을 해야 한다.
추후 파이프라인 스크립트에서 ssh 접속을 하기 위해 ssh agent plugin도 설치한다.
새 크리덴셜을 생성하는데 종류는 SSH Username with private key로 설정한다.
Scope는 Global로 두고
Private Key란에 rsa 비밀 키를 붙여넣는다.
Username은 rsa 키 이름으로 했다.
Credential 생성 완료
그리고나서 application에서 commit change를 하면 젠킨스에서 자동으로 빌드된다.
'네트워크 캠퍼스 > 3차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반 배포 방식으로 앱 서버 두 개에 배포하기 (0) | 2024.08.09 |
---|---|
서버 내 로그 관리 정책 수립 및 구현 (0) | 2024.08.07 |
그라파나-프로메테우스로 인스턴스가 종료됐을 경우 알람 받기 (1) | 2024.08.06 |
프로메테우스 커스텀 매트릭 생성 및 조회하기(인스턴스 정지에도 상태값이 조회 가능한 상황) (0) | 2024.08.06 |
파이프라인에서 빌드 시 사용하기 위한 Gradle 설정 (0) | 2024.08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