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mation Security Study
인그레스 엔진엑스로 엔진엑스 부하분산하기 본문
인그레스 엔진엑스 설정하기
현재 vpc에 두 가용영역 a, b가 있는데
각 가용영역에 엔진엑스가 있다.
원래는 로드밸런서로 두 엔진엑스를 부하분산하려고 했지만
엔진엑스를 하나 더 생성해서 인그레스 엔진엑스 형태로 부하분산 할 것이다.
전에 만들어둔 nginx 이미지로 nginx 인스턴스를 생성한다.
nhn은 a 또는 b 가용영역만 선택할 수 있어서 우선 a에 뒀다.
접속을 위해 플로팅 ip를 사용하고
보안그룹도 nginx에 맞게 22번과 80번만 열어두었다.
nginx 이미지를 썼기 때문에 파워셸에 접속하면 바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이제 이 인그레스 엔진엑스가 두 가용영역에 있는 엔진엑스들을 부하분산하도록 설정파일을 수정해야 한다.
원래 엔진엑스에는
server app의ip:포트번호 weight=100 max_fails=3 fail_timeout=3s;
위와 같이 입력했었지만
지금은 엔진엑스를 연결해야 하니까
server 엔진엑스의플로팅ip weight=100 max_fails=3 fail_timeout=3s;
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.
가용영역 a의 엔진엑스, b의 엔진엑스 총 두개의 서버를 입력하면 된다.
엔진엑스를 재시작한뒤 인그레스 엔진엑스의 플로팅 아이피로 접속하면
화면을 잘 띄워주고 있다.
각 가용영역의 엔진엑스를 연결한 것인지 알기 위해
로그를 확인하면
app과 연결된 엔진엑스들의 아이피를 볼 수 있었다.
'네트워크 캠퍼스 > 2차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라파나로 메일 알림 보내기 (0) | 2024.07.25 |
---|---|
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로 모니터링하기 (0) | 2024.07.25 |
젠킨스 파이프라인으로 애플리케이션 자원 사용량 자동으로 로깅하기 (3) | 2024.07.24 |
240719-23 vpc 변경(기본->새vpc), 롤백, 무중단 배포(롤링, 블루/그린) 이어서 (1) | 2024.07.23 |
blue/green 방식 무중단배포 구현하기 (1) | 2024.07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