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mation Security Study
240314 DB 서버, s3 오브젝트 스토리지 본문
RDS
AWS의 RDS
: Managed Service 형태로 사용자가 DB의 데이터 관리 부분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든 설정이 완비된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
RDS 시스템의 4가지 구성 요소
- 데이터베이스 엔진
- Amazon Aurora, MySQL, Oracle, PostgreSQL, MSSQL 등 여러 엔진 선택 가능 ⇒ 본 실습에서는 MySQL 사용
- 파라미터 그룹
- 데이터베이스 엔진 고유의 설정 수행 (언어 설정, DB 세부 설정 등 환경변수 설정에 해당)
- 옵션 그룹
- RDS 고유의 설정 수행, DB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 관리 차원의 기능을 수행
- 서브넷 그룹
- RDS 인스턴스는 여러 개의 가용 영역 AZ에 배치할 수 있는 멀티 AZ 기능을 제공 RDS를 생성할 때에는 서브넷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서브넷 그룹을 지정하고, AWS 가 임의로 특정 가용영역에 생성하는 RDS 인스턴스를 해당 서브넷 그룹 전체에서 접근할 수 있다.
파라미터 그룹
- MySQL이 제공하는 DB설정을 수행하는 영역이다.
- 성능개선, 사용 현황 파악, 기능 추가 등에 대해서 관여한다.
- 사전에 제공되는 파라미터 그룹이 존재하나 기본 그룹은 변경할 수 없다.
실습 - 파라미터 그룹, 옵션 그룹, 서브넷 그룹, DB 생성
DB까지 생성했다면 배스천서버에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서 mysql에 접속할 것이다.
DB 생성 후 ssh web01 접속
위 명령어로 클라이언트 설치
설치가 완료되었다면 sample-db에서 엔드포인트를 복사한다.
$ mysqladmin ping -u admin -p -h 엔드포인트주소
Enter password:
mysqld is alive
s3 오브젝트 스토리지
-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자료를 장기간 저장하는 장소이다.
- ec2에 사용하는 Elastic Block Store(EBS)는 가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면이 있다.(1년중 5분정도 장애 경험 가능성 존재)
- 가용성 문제와 더불어 용량문제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3 object storage를 사용한다.
s3 오브젝트 스토리지 특징
- 객체 기반 스토리지
- S3는 객체 기반 스토리지를 사용한다. 이는 파일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다.
- 각 객체는 데이터, 메타데이터(예: 파일 이름, 크기, 타입 등), 및 유니크한 식별자로 구성된다.
- 무한한 스토리지
- S3는 거의 무제한의 스토리지를 제공한다.
-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, S3 버킷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.
- 데이터의 내구성 및 가용성
- S3는 데이터의 내구성을 보장한다.
- 데이터는 여러 복제본으로 저장되므로 하드웨어 장애나 네트워크 문제와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된다.
- S3는 높은 가용성을 제공하여 데이터에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.
- 다양한 데이터 접근 방식
- S3는 다양한 데이터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.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에서 직접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AWS SDK 및 명령 줄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.
- 스케일링
- S3는 요구 사항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하므로 매우 큰 데이터셋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
- 보안 기능
- S3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. 이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접근 제어를 관리하며, AWS IAM(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)을 사용하여 사용자 및 그룹별로 권한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.
- 비용 효율성
- S3는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하므로 비용 효율적이다.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 비용은 매우 저렴하다.
'네트워크 캠퍼스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0322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스트레스 테스트 (0) | 2024.03.28 |
---|---|
240321 메일 서버 구축, 캐시 서버 생성 (0) | 2024.03.28 |
240315 s3 오브젝트 스토리지, 커스텀 도메인 및 DNS 활용, 메일 서버 생성하기 (0) | 2024.03.15 |
240308 VPC, bastion 서버, 웹 서버, 로드밸런서 (0) | 2024.03.14 |
240307 AWS와 클라우드 개념, AWS 회원가입, AWS IAM 계정 설정하기 (0) | 2024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