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mation Security Study
240227 nginx-proxy 프로젝트 페이지 변경 본문
worker 1, 2, 3의 exec command에
git clone 주소와 경로 이동 파일명을 변경한다.
빌드 후 localhost:9999/board/list에 접속하면
502 bad gateway가 뜬다..
console output에서는 ./build/libs/에 .jar 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떴다.
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우선 젠킨스 브라우저말고 터미널에서 git clone을 진행해 보았다.
그리고나서 ./build/libs 에 들어가니
.jar여야 할 파일이 .war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했다.
.jar로 변환하기 위해 swu_blog_deploy 폴더 밑에 있는 build.gradle 파일을 수정했다.
jar 블록을 생성하고
.jar 파일이 생성되도록 지시했다.
또 이렇게 떠서 다시 확인해 봤더니
command에는 spring으로 작성되어 있었다!!!
파일명을 맞춰주고 다시 빌드했다.
컨테이너 3개 모두 success긴 하지만..
브라우저 접속이 안 된다.
위처럼 수정하고 다시 빌드했지만 되지 않는다.
successful이 뜨지만
컨테이너 주소 접속도
프록시 접속도 되지 않는다.
--------------------해결--------------------
위 plugins에서 id 'war' 삭제
그리고 조회수 기록 기능도 수정했다.
https://gayeon-l.tistory.com/331
240227 스프링부트-DB 연결
project_db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테이블 생성, 데이터 삽입 # 블로그 테이블 생성 구문 CREATE TABLE blog( blog_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, writer varchar(16) not null, blog_title varchar(200) not null, blog_content varchar(4
gayeon-l.tistory.com
src/main/resources/application-db.properties
에서 db 정보를 입력한다.
Dockerfile 위와 같이 수정
command를 이렇게 수정해야 한다.
worker1 컨테이너ip:8080/blog/list로도 접속이 되고
nginx-proxy 에서도 접속이 된다!!!!
+) 접속을 위해서는
DB, jenkins-host, worker1/2/3, nginx-proxy 컨테이너 실행이 필요하다.
nginx-proxy는 service nginx restart
worker 1/2/3은 ssh restart를 해야 한다.
worker 1/2/3 모두 접속이 된다.
'네트워크 캠퍼스 > 1차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0227 각 컨테이너의 메모리 상태, cpu 사용량을 로그 수집 서버로 전송하기 (0) | 2024.02.28 |
---|---|
240227 DB 컨테이너 생성 (0) | 2024.02.27 |
240227 nginx 리버스 프록시 네트워크 2개 연결(사용자 공개용/비공개용) (0) | 2024.02.27 |
240227 스프링부트-DB 연결 (1) | 2024.02.27 |
240223 젠킨스 호스트-워커 3대 연결 (0) | 2024.0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