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mation Security Study

240202 회고록-도커(docker에서의 kill 사용), 스프링부트(report.json 해석) 본문

네트워크 캠퍼스/회고록

240202 회고록-도커(docker에서의 kill 사용), 스프링부트(report.json 해석)

gayeon_ 2024. 2. 2. 17:14

docker에서의 kill 사용

 

docker kill

명령어: docker kill (컨테이너이름)

컨테이너를 죽이는 강제종료

 

 

리눅스 kill

명령어: kill (pid)

쉘이 강제종료되지만 docker ps로 확인해보면 컨테이너가 up 상태

 

※ 따라서 리눅스의 kill은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.

 


 

report.json 해석

 

vusers.failed

: 테스트 중 실패한 총 가상 사용자 수

 

http.response_time

: 최소, 최대, 중앙값95번째 백분위수 및 99번째 백분위수 응답 시간을 포함한 HTTP 요청의 응답 시간에 대한 통계

 

 

http.response_time가 중요한 이유

  • 백엔드 개발자의 목적은 응답시간(latency)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
  • 중앙값과 95번째 백분위 값이 큰 차이가 나지 않으면 비교적 안정적인 서버